4차 산업혁명이 뜨거운 21세기에 자동차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동 수간이 발달하면서 어릴때 날아다니는 자동차를 상상했었는데요. 아직 날아다니는 자동차는 아니지만 똑똑한 자동차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바로 자율주행 자동차입니다. 자율주행이란 사람이 직접 운전하지 않고 자동차가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가는 기능입니다. 즉 스스로 주행한다는 것이죠.
자율주행 기술은 과거부터 있던 기술이였습니다. 지금은 그 기술의 종착지에 가다왔다고 할 수 있죠. 자율주행은 0단계에서 5단계로 나뉘는데요. 각 단계별로 어떤 기술이 들어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0단계는 기술이 없는 단계입니다.
0단계의 경우 운전자가 모든 상황을 판단하여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아무런 기술이 없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 자동차를 생각하면 됩니다. 0단계의 경우 어떠한 조작도 자동으로 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방향이나 브레이크 등을 제어해야했습니다.
1단계는 운전자의 역할을 일정부분 덜어주게 됩니다.
대표적인 1단계 기술으로 크루즈 모드가 있습니다. 교통정체가 없는 구간에서 일정한 속도로 달리게 해주는 모드로 정주행모드라고 합니다. 크루즈 모드의 경우 오르막이나 내리막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 긴급제동장치도 1단계에 속합니다. 갑자기 앞에 사고가 났거나 운전자의 실수로 브레이크를 밟지 못하는 경우 스스로 제동하게 됩니다. 또 충돌경고음도 포함됩니다. 후진을 하는 경우 물체가 가까이 있으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죠. 이 단계에서는 대부분 센서를 통해 정해진 규칙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운전자의 역할을 어느정도 대신하는 것이고, 아직 자율주행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2단계부터는 일부 자율주행 요소가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2단계부터는 자동차가 스스로 방향을 조절하거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선을 벗어나지 않고 일정하게 주행이 가능합니다. 즉 앞의 상황을 인지하고 차선을 따라서 스스로 움직이는게 가능한 것이죠. 테슬라 차량에 오토파일럿 기능을 생각하면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 경우 차선을 벗어나지 않을 뿐 아니라 앞에서 가고 있던 차의 속도가 줄어든다면 같이 감속하여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도로 상황에 따라 차선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바로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단계입니다. 관련된 사고 영상은 검색하면 정말 많이 나옵니다.
3단계는 교통신호와 도로 상황을 자동차가 인식하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구글의 자회사인 웨이모에서 최근 발표한 자율주행차량이 3단계에 속합니다. 스스로 교통신호와 도로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합니다. 또 갑작스러운 장애물이 등장하더라도 이를 인식하기 때문에 사고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얼마전 상암에서 열린 자율주행 페스티벌에서 많은 분들이 체험해봤는데요. 5G를 기반으로 정확하고 빠르게 상황을 판단한다고 홍보하면서 열렸는데요. 실제 도로의 일부 구간을 차단하여 테스트하면서 문제 없이 종료되었죠.
4단계는 완전한 자율주행 단계입니다.
4단계부터는 운전자가 직접 개입하지 않고 목적지만 설정하면 목적지까지 스스로 움직이게 됩니다. 이를 위해서 많은 기업들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존 자동차 시장의 판도를 바꿀 기술은 4단계부터라고 보시면 됩니다.
5단계는 무인자동차입니다.
무인자동차가 되면 운전석이란 개념이 사라지게 됩니다. 모든 것을 스스로 하고 사람과 대화를 하면서 목적지를 설정하게 됩니다. 또 핸드폰으로 자동차를 호출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가족들과 여행을 가려고 할때 핸드폰으로 4인승 차량 1시까지 와주세요. 라고 하면 가장 가까운 자동차가 집 앞까지 와서 대기하고 있는 것이죠. 또 여행지에 도착하면 그곳에서 가장 가까운 승객을 태우기 위해 자동차 스스로 움직입니다.
이렇게 되면 기존의 산업이 완전히 바뀌게 되겠죠. 우선 택시가 사라지게 됩니다. 또 자동차를 구매하는 것이 아닌 공유하는 것으로 개념이 바뀌게 됩니다. 자동차 제조사들도 더 이상 기존의 디자인이 아닌 승객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디자인으로 변화할 것 입니다. 자율주행기술은 상상만 하던 미래의 이동수단이 아닌 이제 현실이 될 날이 얼마 남지 않았네요.
'읽기 쉬운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투스 (Bluetooth) (0) | 2019.07.14 |
---|---|
사물인터넷 IOT는 무엇인가? (0) | 2019.06.27 |
5G 기술이란 무엇인가 [통신의 역사] (0) | 2019.06.26 |
[3D Graphic] 프레임은 무엇인가? What is frame? (0) | 201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