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는 접목된 기술에 맞게 그 세대가 나뉘는데요. 이더리움의 경우 대표적인 2세대 블록체인으로 1세대 블록체인에 스마트 컨트렉트라는 기술이 도입된 가상화폐입니다. 1세대 블록체인은 지분 증명과 분산된 데이터로 기록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라면, 2세대 블록체인의 경우 DApp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비탈릭이라는 개발자와 찰스 호스킨스라는 개발자가 주축으로 개발되었고, 찰스 호스킨스의 경우 이후 에이다 개발에 참여하면서 사실상 이더리움의 개발자는 비탈릭으로 알려져있습니다.
DApp이란?
DApp은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약자로 비트코인과 같이 탈중앙화를 꿈꾸며 안드로이드의 어플과 같은 블록체인 어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운영되며 다양한 기능의 DApp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2세대 블록체인의 특징입니다.
DApp은 블록체인에 대한 지식만 있다면 누구나 만들 수 있습니다. 이 DApp을 개발하는 회사들은 발행할때 이더리움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면 내가 전기코인을 이더리움 DApp으로 만들었다고 하면 내가 만든 전기코인 100개를 이더리움 1개를 받고 팔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이더리움에 대한 수요가 올라가면서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하지만 DApp을 개발하는 회사들이 어려워지게 되면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시장에 이더리움을 판매하기 때문에 가격 하락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되겠죠. 이더리움을 통해서 많은 코인들이 만들어졌으니 정말 대단한 코인이죠. 그리고 DApp은 메인넷을 통해서 독자적인 코인으로 독립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퀀텀이나 이오스가 있습니다. 이런 코인들은 현재는 독립적은 플랫폼을 만들고 그들의 코인에 DApp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구현해 또 다른 DApp이 생기게 되는 것이죠.
Smart Contract
이더리움의 가장 큰 특징인 스마트 컨트렉트입니다. 1세대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의 경우 단순 자산을 교환하고 이 교환된 기록이 저장되는 것에 불과했다면,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렉트는 장부를 만들어 여러 계약들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여기서 계약이라고 하면 이런건데요. 예를 들어 제가 금 100톤을 구매하고 싶어서 중국의 왕모씨에게 금 100톤을 보내달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왕모씨는 네가 누군지 알고 거래하냐 이런 경우가 생기는데 이런 거래를 이더리움이 대신해주죠. 스마트 컨트렉트에 금 100톤을 받으면 돈을 지불한다는 계약을 만드는 것이죠. 그렇게 되면 금 100톤이 들어오는 것이 확인되는 순간 잔금이 왕모씨에게 송금되는 것이죠. 즉 블록체인에 계약된 내용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스스로 이행되는 것이죠. 이는 앞으로 모든 네트워크에서 활용될 수 있는데요. 블록체인이 자산과 화폐로써 사용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기능이였죠. 이로 인해 사용자간에 분쟁이 줄어들고 공정한 거래가 가능해지지만 네트워크가 무거워지는 등 다양한 문제가 생기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코인들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은 복잡한 과거가 있는데요. 스마트 컨트렉트라는 기술을 도입하면서 장점도 존재했지만, 해킹에 노출되어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더리움의 취약점을 이용해 약 360만개의 이더리움이 해킹당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는 전체 발행된 이더리움의 10%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이더리움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면서 엄청난 가격 하락이 있었습니다. 이로인해 해킹 당한 블록은 무효처리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를 인정하지 않는 개발자 그룹이 있었고 이더리움은 이더리움 클래식과 이더리움으로 나뉘면서 하드포크가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하드포크 시점으로 두 코인 모두 큰 문제없이 운행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의 아들 라이트코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07.04 |
---|---|
리플, 과연 은행 시스템을 대신 할 수 있을까? (1) | 2019.07.03 |
비트코인 지금 투자해도 될까? (0) | 2019.07.01 |
페이스북도 코인을 만들어요. 리브라 코인 (0) | 2019.06.28 |
[하이퍼페이] 가상화폐 전용 모바일 지갑 (0) | 2019.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