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캐시는 비트코인의 하드포크로 인해 탄생한 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의 하드포크로 많은 코인들이 생겨났는데요. 가장 정통성있고 어쩌면 오리지널 비트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코인이 비트코인 캐시입니다. 우선 비트코인 캐시를 알기전에 우지한이라는 인물을 알아야 합니다. 우지한은 북경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사모펀드 분석가로 일하던 중비트코인 채굴사업을 시작하여 큰 돈을 벌었습니다. 비트코인을 직접 채굴하고 있었기 때문에 엄청 많은 수량의 비트코인을 갖고 있었고 자신의 채굴기를 이용해 해쉬파워를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강한 인물이었습니다. 현재는 비트메인의 CTO이고 중국에서 미국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채굴기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우지한이 나왔는지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이 탄생한 이유는 저번 포스팅에 이야기 했듯이 중앙집권된 화폐가 아닌 탈중앙화된 화폐를 만들기 위해서였죠. 비트코인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https://math-development-geometry.tistory.com/22
경제 이야기 - 비트코인, 가상화폐의 미래
비트코인은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사람이 만들었다고 합니다. 필명을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 국적이 어디인지 알 수 없고 누군지도 알 수 없습니다. 비트코인은 실제로 눈으로 보거나 손으로 만질 수 없는 화..
math-development-geometry.tistory.com
탈중앙화를 꿈꾸던 비트코인에 중앙화가 시작되었는데요. 그 중심에 바로 우지한이 있었습니다. 중국의 채굴업자들이 ASIC 채굴기를 이용하여 전문적으로 채굴하면서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영향력은 해쉬율을 말하는데요.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해쉬율을 변화시켜 가격을 조정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 개발자들이 ASIC 채굴기의 특수한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기능을 업데이트하려고 하였지만, 이미 중국 채굴진영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영향력이 강했기 때문에 합의가 불가능해졌고, 이로인해서 비트코인은 두 종류로 나뉘게 되었고, 우지한을 중심으로한 진영의 코인은 비트코인 캐쉬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하드포크를 통해 가장 이득을 본 사람들은 채굴자입니다. 하드포크는 기존의 한 블록체인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고 같은 체인이 복사되어 두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10개 갖고 있었다면, 하드포크 시점에서 비트코인 10개와 비트코인 캐시 10개가 생기게 되는 것이죠.
우지한 진영에서는 단순히 자신들의 채굴기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에 하드포크를 진행하였다는 인식을 피하기 위해서 비트코인의 블록 사이즈가 작다는 것을 문제로 비트코인 캐시는 블록 사이즈를 2배로 늘리겠다고 하였는데요. 다양하고 많은 일이 있었지만 결국 비트코인에 대한 시장 지배력을 지키기 위한 행동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 실제로 우지한은 비트코인과의 전쟁을 선언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해쉬율을 가져가면서 비트코인 캐시의 가격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노력하였는데요. 실제로 2017년 5배 가까이 가격이 상승하면서 한화 기준으로 287만원까지 오르는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이후 비트코인 캐시는 비트코인 SV라는 새로운 코인의 탄생 배경이 되는데요. 비트코인 SV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포스팅에서 담도록 하겠습니다.
'암호화폐,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더리움 킬러 이오스 (0) | 2019.07.07 |
|---|---|
|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의 장점만 살린 퀀텀(Qtum)코인 (1) | 2019.07.06 |
| 비트코인의 아들 라이트코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07.04 |
| 리플, 과연 은행 시스템을 대신 할 수 있을까? (1) | 2019.07.03 |
| 2세대 블록체인 이더리움 (0) | 2019.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