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대 코인으로 유명한 코인 중 하나인 이오스에 대한 이야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오스는 2017년 6월에 이더리움의 DApp으로 만들어져 ERC-20 토큰으로 상장되었습니다. 채굴 방식은 위임지분증명(DPoS)입니다. DPoS 방식은 이오스 블록체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트랙잭션을 BP로 불리는 21명의 대표자들의 노드에 이루어집니다. BP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 수량의 코인을 확보하고 있어야하며, 이오스 홀더들의 투표를 통해서 BP로 선정됩니다.

이오스는 처음 이더리움의 DApp으로 시작하였지만, 1년 뒤인 2018년 6월 메인넷을 런칭하고 독자적인 플랫폼 코인이 되었습니다. 이오스는 웹어셈블리, 러스트, C, C++ 언어와 같이 개발자들에게 익숙한 언어로 개발되었습니다. 이더리움은 솔리티라는 언어를 이용해야 하고 이는 친숙하지 못한 언어로 불편함이 있었지만, 3세대 코인인 이오스는 퀀텀과 같인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게 됩니다.
https://math-development-geometry.tistory.com/35
위임지분증명 (DPoS)
이오스는 이더리움의 킬러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는 1000개가 넘는 DApp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인해 수수료가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오스가 만들어졌습니다. DApp 사용자들이 즉각적인 반응 속도를 위해서는 이더리움보다 더 빠른 네트워크가 필요하였고 이를 이오스가 선택한 방법은 21명의 블록 생성자(BP)를 선출하고 21개의 노드에서만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방식이였습니다. 따라서 이오스는 이더리움에 비해 엄청난 처리 속도를 갖게 되었지만, 모든 블록이 아닌 21개의 노드에서만 처리되기 때문에 보안은 이더리움보다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이오스는 사용자 거래 수수료가 무료이기 때문에 수수료가 비싼 이더리움에 비해 좋은 경쟁력을 갖게 됩니다.
'암호화폐,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블록체인계의 유튜브! 트론(TRON) 코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2) | 2019.07.15 |
|---|---|
|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의 장점만 살린 퀀텀(Qtum)코인 (1) | 2019.07.06 |
| 비트코인 최대 하드포크 비트코인 캐시 (0) | 2019.07.05 |
| 비트코인의 아들 라이트코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9.07.04 |
| 리플, 과연 은행 시스템을 대신 할 수 있을까? (1) | 2019.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