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많으면 정말 좋겠죠?

누구나 돈을 많이 갖고 싶어합니다.

또 누구는 돈을 만들어 내는 상상을 합니다.

 

이런 상상이 실제로 위조지폐를 만들기도 하죠.

하지만 이런 상상이 합법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이 있어요.

 

바로 한국은행입니다.

한국은행은 매년 필요한 화폐를 측정해서 새로 만들고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 나라마다 화폐를 만들 수 있는 곳이 정해져있어서

필요한 만큼 화폐를 만들어 줍니다.


양적완화를 설명하는데 왠 화폐이야기를 하는지 의문이 생길 수 있어요.

양적완화의 근본적인 원리가 바로 화폐(통화량)을 늘리는 것이기 때문이죠.

경제에서 돈은 피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에서 피가 안돌면 죽는 것처럼

시장에서 돈이 돌지 않으면 시장은 죽게 됩니다.

그런 시장을 침체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침체된 시장을 다시 살리는데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 오늘의 주제인 양적완화가 있습니다.

 

양적완하는 유동성을 늘려 경기침체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낮은 금리로 대출을 유도하고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려는

정부의 노력에도 경기가 살아나지 못하고

더 이상 금리를 낮출 수 없게 되면 실행하게 됩니다.

 

금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이므로 마이너스 금리가 되면

은행에 돈을 맡기는데 오히려 돈이 들게 되죠.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돈을 집에 꽁꽁 숨기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양적완화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정부에서 어떤 방식으로 유동성을 공급할까요?

 

유동성을 공급하는데 여러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식은 채권이나 국채 혹은 민간인의 금융자산을

정부가 직접 매입하여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니면 토지보상제도나 지원정책을 통해서 유동성을 공급하기도 합니다.

 

시장에 유동성이 공급되면

시장에는 돈이 많이 생기게 되고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기업은 많은 돈을 대출 받아 투자를 하거나 고용인력을 늘리게 되고

이로인해 경제가 살아나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돈이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양적완화가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양적완화가 실행되어 유동성이 증가하게 되면

많은 돈들이 부동산이나 주식으로 몰려

자산가격이 상승하고

이는 인플레이션을 야기합니다.

 

또 실물자산을 소유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양극화가 더 벌어지는 것이죠.

 

국제적으로 살펴보면 이러한 양극화가 더 크게 나타나게 됩니다.

지금은 세계화시대에 있고 경제 또한 수출과 수입으로

많은 국가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살고 있습니다.

 

이때 수입을 하는 국가에서 양적완화를 실행하게 되면

해당 국가의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상대 국가의 화폐가치는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수출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높은 신흥국에게는 치명적인데요.

화폐가치 상승으로 인해 수출이 줄어들고

기업의 이익을 줄어들게 되는거죠.

 

과거 일본 환율이 너무 높아서 일본으로 여행가기 정말 어려웠는데

요즘은 많은 분들이 일본으로 여행을 가고 있어요.

 

이런 배경에는 아베노믹스로 통한 일본통화의 가치하락으로

엣날에 비해 더 적은 돈으로

비슷한 수준의 여행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일본은 수출이 증가하고 침체된 경제가 살아나게 되는 것이죠.


미중 무역전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4차 양적완화를 실행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는 상대적으로 수출이 주가 되는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중국은 내수시장도 활발하지만 일대일로 정책으로 

과도한 부채비율이 문제가 되면서 수출에 신경을 써야할 중국에게는

큰 아픔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 Recent posts